top of page
해움
HALAL 인증

세계 2위라는 통계 답게 이슬람은 중동, 동남아, 유럽에 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들 이슬람의 코란의 "좋은 것을 먹고 올바로 행동하라"라는 구절이 암시하는 바처럼 무슬림의 먹는 행위는 신을 숭배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공급하는 종교적인 행위이다.

금기시 된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아래와 같이 분리 된다.

할랄 [ HALAL ] "허용된 것" : 소, 양, 닭, 오리를 이슬람식 도살법으로 도축한 것, 비늘 있는 생선, 새우 등, 중독성이 없는 음료 등

하람 [ HARAM ] "금기" : 돼지, 육식, 포식동물, 동물사체, 이슬람식으로 도축하지 않는 고기, 양서류(거북이, 개구리), 비늘 없는 생선, 알코올, 부산물 등

그럼 할랄 범위에 드는 원료만을 사용하면 할랄 인증이 가능 한가?

우리의 식품 산업은 단순히 한두가지 원료로만 구성되고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오렌지 쥬스를 만든다고 가정해 보자!

오렌지는 과일이나 당연하게 할랄 식품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인증을 받을 수는 없다.

가장 큰 걸림돌이 할랄 전용 공장(혹은 LINE) 이라는 것이다.

만약 같은 공장 울타리 안에서 육류 부산물을 이용하거나 보관하고 있다면?

오렌지 쥬스를 만들때 알코올을 이용하여 오렌지향을 추출한 향을 사용한다면?

사용하는 설비에 윤활류가 하람과 관련 된 것이라면?

작업자의 사기 증진을 위해 든든한 고기 반찬으로 식사를 하고 작업에 임한다면?

생산된 오렌지 쥬스가 할랄식품이 아닌 하람식품과 같은 공간에 보관되고 있다면?

...

HALAL 인증이 주목 받고 있는 이유는?

할랄 인증의 까다로움 때문이다.

할랄 인증은 HACCP, GMP, ISO의 기준위에 종교적 기준을 가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비무슬림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할랄 인증 식품은 안전하고 위생적이라는 인식 생긴 이유 이기도 하다. 더구나 할랄 식품은 무슬림의 종교적 의미인 공정무역과 동물 실험을 하지 않기 때문에 윤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나라별 HALAL 인증

나라별 파별별로 할랄인증에 대한 기준은 상이하다. 그리고 전세계 수백개의 할랄인증 기관들이 있다. 서로 교차 인증하고 있으며 이 자료에서는 주요 나라별 할랄 인증 기관 정도만 소개하도록 하겠다.

KMF [ 대한민국 ]

JAKIM [ 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부 ]

   할랄인증을 위한 절차 메뉴얼 [ Manual Procedure for Halal Certification Malaysia ]

   말레이시아 할랄인증의 할랄보장시스템 지침서 [ Guidelines for Halal Assurance Management System of Malaysia Halal Certification ]

   절차서, 기준서, 메뉴얼 등 가장 까다롭다고 알려져 있다.

MUI [ 인도네시아 ]

   LPPOM - MUI의 하랄보장시스템 [ Halal Assurance System : HAS ]

MUIS [싱가포르 MUIS 할랄 기준 ]

CICOT [ 태국 이슬람 중앙회 ]

ESMA [ 아랍에미리트연합 ]

SFDA [ 사우디아라비아 ]

HALAL 표준

나라별 기관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할랄 표준을 언급하기는 어렵지만 대표적인 표준 절차를 열거하겠다.

1. 범위

2. 정의 [법률, 할랄식품, 도축, 작업장 구역 등]

3. 요건

   3.1 경영진 책임

   3.2 작업장 구역

   3.3 장치, 도구, 기계 및 공정 보조기구

   3.4 위생 상태, 위생시설 및 식품 안전성

   3.5 할랄식품의 가공

   3.6 할랄식품의 보관, 운송 진열 판매 및 제공

   3.7 포장, 라벨 및 광고

4. 규정준수

5. 할랄인증

6. 할랄인증마크

부속서 들

- (규범) 반추류 및 가금류 동물 도축에서의 기절법 사용에 관한 규정요건

- 샤리아법에 따른 심각한 수준의 나지스 정화의식

- 식품우수제조관리기준

- 선행요건 프로그램 및 선정과 사용에 대한 지침

-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시스템에 따른 식품 안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