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O 22000[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
품질경영시스템 [ ISO9001 ]과 식품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 HACCP ]을 한 규격으로 만든 식품관련 조직에서의 식품 안전 경영시스템
- ISO 9001 : 품질 전반의 요구사항
- HACCP : 식품 (위생) 안전 위주의 요구사항
- ISO 22000 : ISO 9001 + HACCP 통합 경영시스템
ISO 22000 인증의 요구사항
1. 적용범위
2. 인용표준
3. 용어 및 정의
4. 조직의 상황 이해
4.1 조직 및 조직상황 이해
4.2 이해관계자의 니즈 및 기대 이해
4.3 품질경영시스템 적용범위의 결정
4.4 품질경영시스템 및 그 프로세스
5. 리더십
5.1 리더십 및 실행의지
5.1.1 일반사항
5.1.2 고객중시
5.2 방침
5.2.1 품질방침의 수립
5.2.2 품질방침에 대한 의사소통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6. 기획
6.1 리스크 및 기회를 다루는 조치
6.2 품질목표 및 품질목표 달성기획
6.3 변경에 대한 기획
7. 안전한 제품의 기획 및 실현
7.1 일반사항
7.2 선행요건 프로그램
7.3 위해요소 분석을 위한 예비 단계
7.3.1 일반사항
7.3.2 식품 안전팀
7.3.3 제품 특성
7.3.4 의도하는 용도
7.3.5 흐름도, 프로세스 단계 및 관리수단
7.4 위해 요소 분석
7.4.1 일반사항
7.4.2 위해요소 파악 및 허용 가능한 수준의 결정
7.4.3 위해요소 평가
7.4.4 관리수단의 선택 및 평가
7.5 운용 선행요건 프로그램 수립
7.6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 (HACCP) 계획 수립
7.7 예비정보 및 선행요건 프로그램과 HACCP 계획을 규정한 문서의 갱신
7.8 검증기획
7.9 추적성 시스템
7.10 부적합의 관리
8. 운영
8.1 운영기획 및 관리
8.2 제품 및 서비스 요구사항
8.2.1 고객과의 의사소통
8.2.2 제품 및 서비스에 관련된 요구사항의 결정
8.2.3 제품 및 서비스 관련 요구사항의 검토
8.2.4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 변경
8.3 제품 및 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
8.3.1 일반사항
8.3.2 설계 및 개발기획
8.3.3 설계 및 개발입력
8.3.4 설계 및 개발관리
8.3.5 설계 및 개발출력
8.3.6 설계 및 개발변경
8.4 외부에서 공급되는 프로세스, 제품 및 서비스 관리
8.4.1 일반사항
8.4.2 외부공급에 대한 관리방식 및 범위
8.4.3 외부공급자에 대한 정보
8.5 제품 및 서비스의 제공
8.5.1 제품 및 서비스 제공의 관리
8.5.2 식별 및 추적성
8.5.3 고객 또는 외부공급자 소유의 재산
8.5.4 보존
8.5.5 인도 후 활동
8.5.6 인도 후 활동
8.6 제품 및 서비스 불출/출시
8.7 부적합 출력의 관리
9. 성과평가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9.1.1 일반사항
9.1.2 고객만족
9.1.3 분석 및 평가
9.2 내부심사
9.3 경영검토/경영평가
9.3.1 일반사항
9.3.2 경영검토 입력사항
9.3.3 경영검토 출력사항
10. 개선
10.1 일반사항
10.2 부적합사항 및 시정조치
10.3 지속성 개선